초음파 검사

정성을 다하는 행복백세내과의원

초음파 장비

행복백세내과의원에서는 대학병원에서 사용하는 필립스사의 Affinity 장비를 사용합니다.

/_files/62JSNJYXe.jpg

갑상선초음파

갑상선초음파 검사는 갑상선 결절 및 주변의 림프절의 이상 유무를 평가 하는데에 있어서는 다른 어떤 검사보다도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검사입니다.

갑상선 결절의 악성도 평가, 즉 갑상선 암과 양성 결절을 구분하는데 유용합니다.

검사 방법

  • 1

   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어깨나 목 밑에 베개 등을 받혀 목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 진행합니다.

  • 2

   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5분에서 20분 정도 소요됩니다.

  • 3

    실시간으로 결과 및 판독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2-3일 이내에 최종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진단 질병

  • 1
    갑상선의 발달 이상
  • 2
    미만성 갑상선 질환
  • 3
    양성 결절질환(그레이브스병 등)
  • 4
    악성 결절질환(유두암, 여포암)

경동맥초음파

경동맥은 심장에서 나오는 혈관 중 뇌 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아주 중요한 혈관입니다.
뇌, 심장 혈관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.

비침습적 방법인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조기 죽상동맥경화증의 진단 및 조기 치료에 이용되며 초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혀 힘들지 않고 검사 시간은 약 10분 정도 소요됩니다.

검사 방법

  • 1

   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진행할 때에는 베개를 베지 않고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진행합니다.

  • 2

    검사하는 부위 반대방향으로 얼굴을 돌린 후 젤을 바르고 초음파 탐촉자를 목에 대어 움직이며 진단합니다.

  • 3

    따로 금식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진단 질병

  • 1
    동맥경화
  • 2
    뇌졸중
  • 3
    심근경색
  • 4
    뇌혈관 질환, 기형 정도, 내부 상태
  • 5
    뇌의 혈액 순환 상태

복부초음파

초음파를 생성하는 탐촉자를 상복부에 대고 초음파를 보낸 다음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실시간 영상화하는 검사입니다.
간편하고 검사 시 환자가 편안하며, 인체에 해가 없기 때문에 상복부 증상이 있을 때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.

특히 상복부 초음파 검사는 컴퓨터 단층촬영(CT)이나 자기공명영상(MRI)을 시행할 수 없는 임산부나 신장 기능 저하 환자를 평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.

검사 방법

  • 1

    검사 부위의 복벽에 초음파를 전달하기 위한 젤을 바르고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검사를 진행합니다.

  • 2

    배를 내밀면 상복부에 위치한 간, 양측 신장, 비장, 담낭 등이 갈비뼈 아래로 내려와 검사가 용이합니다.

  • 3

    경우에 따라서는 돌아서 눕거나 등 뒤 바닥에 손을 받치고 앉은 자세로 검사하기도 합니다.

진단 질병

  • 1
    간염
  • 2
    복부 장기의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
  • 3
    복부내 복수, 농양
  • 4
    급성 혹은 만성 췌장염
  • 5
    담낭염 및 담도염과 결석

심장초음파

심장초음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장의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, 심장 기능, 심장 내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법입니다.

대부분의 심장 질환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심장 질환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입니다.

심장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

  • 1

    흉부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

  • 2

    고혈압, 고지혈증 환자

  • 3

    심전도 검사 결과 심장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

  • 4

    평소 과음, 흡연하는 환자

  • 5

    빈맥 또는 서맥이 있는 경우

  • 6

    호흡 곤란이 있는 경우

진단 질병

  • 1
    협심증, 부정맥, 심장판막증, 심근경색
  • 2
    대동맥 질환
  • 3
    비후성/제한성 심근병증
  • 4
    심내막염
  • 5
    선천적 심장 이상 및 심장질환
  • 6
    심장 수술 이후 후유증 진단